인생의 버킷리스트 책 출간, 저서 출판! 책쓰기 코칭수업! "책쓰기의 시작, 끊임없이 부지런히 메모하라"

◎ 책쓰기의 시작, 끊임없이 부지런히 메모하라!
작가가 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습관이 바로 ‘메모하기’ 이다. 고요한 새벽 머릿속에 어떠한 혼돈도 없는 상태에서 머리를 스치는 번뜩이는 아이디어, 사고에 대한 통찰력에 주목해야 한다. 이러한 현상은 몸과 마음이 차분한 새벽에 많이 일어나지만, 하루 일과를 하는 과정에서도 일어난다. ‘아하 이렇게 할 수도 있겠구나. ‘이러한 방법도 있지’ ‘오~ 이거 좋은 생각인데’ 라고 떠오르는 생각들에게 대해 신속히 메모하는 습관이다. 작가와 일반인의 차이는 그리 대단한 것에 있지 않다. 작가는 자신의 생각과 경험에 대해 늘 메모할 준비가 되어 있기 때문이다. 의식이 있는 24시간을 최대한 활용하고자 노력하는 것이다. 그러나 일반인은 스쳐지나가는 생각과 자신의 경험들에게 대해 큰 의미를 두지 않는다. “아 좋다.” “감동적이다” 라는 문장에 그치는 것이 대부분이다. 또한 혜성처럼 지나간 생각들에게 대해 기억할 수 있다는 착각에 빠져 있다. “조금 전에 내가 무슨 생각이 났더라. 기억이 가물가물하네. 라고 생각이 날듯 말듯 애를 태우기 일쑤다. 살아있는 글, 진솔한 글이 되기 위해서는 자신의 생각과 경험에 근거한 글이어야 한다.
질주(疾走)는 빨리 달린다는 뜻이고, 질서(疾書)는 빨리 글을 쓴다는 의미이다. 성호 이익 선생의 저서 『시경질서(詩經疾書)』, 『논어질서(論語疾書)』 는 경전을 읽다가 떠오르는 생각들을 메모해 두었다가 이를 엮어 만든 책인 것이다.
<한국의 메모 달인들>의 저자 최효찬은 그의 저서에서 성공한 사람들의 메모비법을 분석하면서 말한다. “아이디어는 휘발성입니다. 끊임없이 머릿속에서 생성되지만 메모를 해서 이를 구체적인 정보나 기획으로 바꾸지 않으면 그냥 휘발성 물질처럼 형체도 없이 사라져버리는 거죠. 메모를 해두지 않으면 잊기 쉽고 그 생각을 다시 떠올리기란 여간 힘든 작업이 아닙니다.”
그렇다면 메모 어떻게 하면 좋을까. 필자가 사용하는 메모법을 소개한다.
첫째, 교실에 들어서자마자 메모지와 펜을 꺼내 놓는다. 책상에 늘 두는 메모지와는 구분해서 별도로 챙겨놓고, 수업이 있을 때 교탁으로 가져간다. 그리고 아이들을 가르치거나 지도할 때 떠오르는 것에 대해 핵심 되는 키워드들만 적어놓는다. 가끔 메모를 할 때, 문장의 주어와 서술어 목적어를 갖춘 완전한 문장으로 메모를 하는데 긴박하게 돌아가는 교실, 그리고 수업 시간 내에 이러한 메모는 사실 불가능 하다. 중요단어와 화살표, OX, 간단한 그림 등을 이용해서 일과 시간 후에 그 메모를 보았을 때 메모를 하는 순간 했던 생각들을 끄집어 낼 수 있다면 성공인 것이다.
수업 중에 한 남학생이 자기 앞의 학생을 방패삼아 자신의 몸을 숨긴 채 무언가를 열심히 적고 있는 것을 보았다. 그래서 조용히 다가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 보았더니, 자신의 여자 친구에게 편지를 쓰고 있는 것이 아닌가. “어제 내가 문자메시지를 보냈는데, 네가 답장이 없어서 걱정이 돼. 사실 생일 선물이 마음에 들지 않아서 그런 건가 하는 걱정이 들어” 라는 내용이었다. 아이는 매우 진지했고, 꾸중 듣는 것, 창피한 것 이전에 여자 친구와의 관계 때문에 힘들어하고 있는 눈치였다. 학생을 달래고, 들어와 간단히 아래와 같이 메모했다. “3. 진호 / 편지 -> 문자 답X, 선물 女 드는지 걱정 / 창피X” 3은 3교시를 뜻하고, 이름을 쓰는 것은 학생을 통해 기억을 쉽게 떠올릴 수 있게 때문이다. 필자가 이렇게 메모하게 된 초기 목적은 학생상담자료를 위해 메모를 했지만, 이제는 책을 쓰는 재료로도 사용한다.
둘째, 스마트폰을 적극 활용하는 것이다. 종이와 펜이 준비되어 있다면 쓰면 되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 스마트 폰을 이용해 보자. 1) 핸드폰의 메모기능을 활용한다. 문자로 입력하거나, 직접 글자를 써서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2) 신문이나 잡지에서 찾은 좋은 문구, 적절한 사례들이 있다면 사진을 찍어서 저장할 수도 있다. 3) 길을 걸어가거나, 운전을 할 때 떠오르는 생각과 좋은 아이디어는 어떻게 할까. 필자가 많이 사용하는 방법으로, 스마트 폰의 음성녹음 기능을 사용해서 나의 생각을 주저리주저리 말로서 녹음메모를 하는 것이다. 종이와 펜이 준비된 경우에도 가끔 녹음메모를 사용한다. 필자의 생각을 담아내는 손 필기의 속도가 넘쳐가는 아이디어들을 모두 담아내지 못할 때는 녹음메모를 통해 놓치지 않으려고 한다. 4) 사진과 녹음으로 어떠한 정보를 담기 어려운 경우에는 영상메모를 활용한다. 박물관에서 찾은 의미 있는 유물의 경우 손으로 집어가면서 들은 지식들을 스스로 설명하면서 영상으로 내용을 메모하는 것이다.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저서활동에 필요한 중요한 재료들을 모으는 일을 할 수 있다. 메모해둔 음성, 사진, 영상 파일들은 한 달에 한번 정리를 하고 삭제를 해서 충분히 메모리 용량을 확보해 두어야 한다. 참 중요한 순간, 메모리 용량이 부족해 영상메모를 하지 못해 아쉬웠던 경험이 꽤 된다.
셋째, 책을 읽다가 감동의 물결이 넘길 거릴 때가 있다. 이때는 책에다 직접 메모를 한다. 영감을 받은 부분에 밑줄을 긋고 화살표 표시를 하고 공백에 떠오르는 생각과 기억들을 자유롭게 적어 내려간다. 필자는 처음에 책에 낙서를 한다는 생각이 들어, 별도의 종이에 글을 썼었다. 그런데 낱장의 종이는 방심한 틈을 타 금세 어디론가 사라져 버렸다. 책 원고를 쓸 때, 감동받은 글귀를 인용하고자 다시 책을 꺼냈을 때 감동을 느낀 기억은 있지만 나의 생각을 다시 떠올리기란 쉽지 않았다. 그래서 책을 읽다가 참 좋은 구절이 나오면 거침없이 여백에 나의 느낌을 써 내려간다. 생각의 흔적들을 남겨놓고 책 페이지에 인덱스를 붙여 표시를 해 둔다. 그러면, 추후 다른 책을 참고하고 인용을 하고자 할 때, 해당 페이지를 펴면 놀라운 일이 벌어진다. 책 원문에서 느낀 나의 생각의 흔적과 더불어 시간이 조금 흐른 지금의 생각까지 더해져서 풍부한 하나의 문단이 만들어지기도 한다. 이것이 바로 책쓰기의 노하우다. 책은 단순히 무(無)에서 유(有)를 창조하는 것이 아니다. 유(有)에서 또 다른 유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자신의 생각과 경험 그리고 철학을 더해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여러분이 참고한 책은 당신의 생각을 자극하는 촉매제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필자는 나의 머리를 절대 믿지 않는다. 영원히 기억할 것 같지만 시간이 지나면 금세 잊어버리는 경우가 많다. 알토란같은 아이디어를 놓치지 않기 위해 몇 번이고 기억을 더듬어 보지만 쉽게 생각이 나지 않는다. 머리를 믿지 마라. 어떠한 방법으로든 기록해 두어라.
인생의 버킷리스트 책 출간, 저서 출판! 책쓰기 코칭수업! "책쓰기의 시작, 끊임없이 부지런히 메모하라"

글을 쓰고, 글을 읽을때 물소리를 들으면 오랜시간 집중할수 있어 좋으네요.
제가 직접촬영한 영상 살짝 공개합니다. 여러분의 책쓰기를 진심, 응원합니다.
서안작가는 예비작가님의 도서출판을 돕고 있습니다.
작가님이 도서출간계약을 할때 까지 기간에 상관없이 정성껏 양질의 코칭을 진행합니다.
https://docs.google.com/forms/d/e/1FAIpQLSdDFviAxx_Sgz67K4EaxP5PpENJBCTx9c-xkhrKKZ89NxuUrA/viewform
[23~24 작가되기 프로젝트] - 1:1 코칭 신청
안녕하세요. 책쓰기에 도전하시는 작가님을 응원드립니다. 작가 서안입니다. 저는 26권의 저서를 냈고, 글쓰기를 즐기는 작가입니다. 지난 13년간 138권의 책출판을 코칭했으며, 대필작가로 왕성
docs.google.com
<1:1 무료 카카오톡 책쓰기 상담>
https://open.kakao.com/o/shkSjICd
책쓰기코칭랩 <카이로스>
#책쓰기#책쓰기수업#책쓰기코칭#책출간하기#작가되기#책출판하기#저자되기#책쓰기컨설팅#온라인수업#주부책쓰기#직장인책쓰기#회사원책쓰기#온라인책쓰기
open.kakao.com
'책쓰기 프로젝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장인, 회사원 작가되기! 책쓰기프로젝트! 저서출간, 출판을 위한 코칭수업! 직장인, 회사원의 투잡, 부업! 나도 인세받는 작가! (1) | 2020.06.13 |
---|---|
자서전 책쓰기, 자서전 책출간하기, 저서출판하기, 작가되기 "책 출간을 위한 원고분량과 책쓰기 코칭수업" (0) | 2020.06.13 |
자서전 책출간을 준비하는 예비작가를 위한 책쓰기프로젝트, 작가되기 코칭수업 "책쓰기를 위한 시간관리전략" (0) | 2020.06.11 |
[책출간, 저서출간 코칭수업] 책쓰기의 필수 무기 ‘예화. 예시. 설문자료’ (1) | 2020.06.11 |
[대학생, 대학원생의 책쓰기] 전문작가의 책출간, 저서출간, 작가되기 프로젝트 코칭수업 (0) | 2020.06.11 |